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비하인드

로마 제국의 ‘거인 황제’? 막시미누스

by vshistory 2025. 6. 18.
반응형

“로마 황제 중에 가장 키가 컸던 사람은 누구일까?” 놀랍게도 실제 역사 속에 ‘거인 황제’로 불린 인물이 존재합니다. 바로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그는 단순히 키만 큰 게 아니라, 로마 제국 역사상 매우 독특한 경력을 지닌 인물이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로마의 거인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로마 제국 최강의 거구 황제

 

  • 재위 기간: 235~238년
  • 출신: 트라키아(현재 불가리아·터키 지역)
  • 로마 최초의 ‘병사 황제(Soldier Emperor)’당시 혼란한 로마 제국에서 그의 무력과 카리스마는 통치의 무기가 되었죠.
  • 귀족도 아니고, 로마 시민도 아니었던 이 이방인은 군대에서 실력 하나로 황제 자리에 올랐습니다.

 


 

전설적인 ‘신체 스펙’? 과연 사실일까?

 

고대 문헌에는 놀라운 기록들이 남아 있습니다:

 

  • 키는 무려 2.6~2.7m
  • 팔찌를 반지처럼 낄 수 있을 정도로 손가락이 굵음
  • 식사량은 일반인의 10배

 

그러나 여기엔 문제가 있습니다. 당시의 주요 사료인 《Historia Augusta》는 과장이 심한 기록으로 유명하죠.

실제로 그의 키가 2m를 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2.6m는 과장일 수 있습니다.

 


 

그는 ‘거인병’ 환자였을까?

 

막시미누스 트락스의 거대한 신체는 단순한 유전적 특징이었을까요? 의학적으로는 ‘말단비대증(Acromegaly)’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말단비대증이란?

 

성장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손발, 얼굴뼈 등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병입니다.

현대에도 프로레슬러 안드레 더 자이언트가 이 병을 앓았던 것으로 유명하죠

 

막시미누스의 외형 묘사는 말단비대증의 증상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가 실제로 거인병 환자였을 가능성도 충분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짧지만 강렬했던 황제의 말로

 

그는 무력으로 제위에 올랐지만, 그만큼 지지 기반이 약했습니다.

 

  • 238년, 로마 원로원이 그를 폐위
  • 반란군이 진격하자, 병사들에게 배신당해 처형

 

그의 거대한 신체만큼이나 강했던 통치는, 단 3년 만에 씁쓸한 최후로 막을 내렸습니다.

 


 

‘막시미누스’는 한 명이 아니다?

 

우리가 주로 아는 ‘막시미누스 트락스’ 외에도 로마 역사에는 여러 명의 ‘막시미누스’가 존재했습니다:

 

 

대표적 인물들:

 

  • 막시미누스 트락스 (재위 235~238년) - ‘거인 황제’로 알려짐
  • 막시미누스 다이아 (재위 310~313년) - 기독교 박해 정책을 폈던 황제
  • 막시미누스 2세 - 실존 여부 논란 있음

 

 

그 이유는?

 

  • ‘막시미누스’는 라틴어로 ‘가장 위대한 자(Maximus)’에서 유래
  • 군사 출신 황제들이 권위 있는 이름으로 사용하길 선호

 


 

전설과 과장 사이의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는 분명 로마 역사상 가장 ‘이색적인’ 황제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신체 조건이 사실이든 과장이든, 그의 삶은 오늘날에도 많은 역사 팬들에게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는 진짜 거인이었을까요? 아니면 단지 시대가 만들어낸 신화였을까요?”

 

로마 제국의 ‘거인 황제’? 막시미누스

 

 

재미있는 역사 속 이야기

우리나라에도 북한 관공서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북한 관공서가 있다?

“북한은 별개의 나라인데, 대한민국에도 북한 지역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 있다?” 처음 들으면 의아할 수 있지만, 실제로 존재합니다. 그 이름은 바로 ‘이북5도청’입니다. 📌 ‘이북5도청

jayoungupja.tistory.com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는 ‘수원’?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는 ‘수원’?

‘신도시’ 하면 분당, 일산, 판교 같은 이름들이 먼저 떠오르시죠? 하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나라 최초의 계획 도시, 즉 ‘신도시’는 조선시대에 이미 존재했습니다. 바로, 수원 화

jayoungupja.tistory.com

지퍼, 세상을 여닫다 – 작은 발명이 만든 나비효과

 

지퍼, 세상을 여닫다 – 작은 발명이 만든 나비효과

여러분이 지금 입고 있는 옷, 혹은 가방을 한번 살펴보세요. 지퍼 하나만으로 얼마나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나요?이 작고 단순해 보이는 장치, 지퍼(zippers). 그런데 이 하나의 발명품이 전쟁, 패

jayoungupja.tistory.com

영어단어 “guy”라는 단어의 탄생 배경은?

 

영어단어 “guy”라는 단어의 탄생 배경은?

우리가 일상에서 너무나도 자주 쓰는 단어, “guy” - “그 남자”, “저 사람”, 또는 “you guys!“처럼 성별과 상관없이 사람을 지칭하는 이 단어의 뿌리를 아시나요?놀랍게도 이 단어는 17세기

jayoungupja.tistory.com

 

반응형

댓글